signInWithEmailAndPassword
• wrong-password: 주어진 이메일에 대해 비밀번호가 잘못되었거나, 해당 계정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email: 이메일 주소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
• user-disabled: 해당 이메일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경우 발생합니다.
• user-not-found: 해당 이메일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발생합니다.
createUserWithEmailAndPassword
• email-already-in-use: 해당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는 계정이 이미 존재할 경우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email: 이메일 주소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
• operation-not-allowed: 이메일/비밀번호 계정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 Firebase Console의 Auth 탭에서 이메일/비밀번호 계정을 활성화하세요.
• weak-password: 비밀번호가 너무 약할 경우 발생합니다.
signInWithCredential
• account-exists-with-different-credential: 자격 증명이 주장하는 이메일 주소에 이미 다른 자격 증명을 사용하는 계정이 존재할 경우 발생합니다. 이 경우 fetchSignInMethodsForEmail을 호출하여 반환된 공급자 중 하나로 로그인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한 후,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원래의 자격 증명을 linkWithCredential을 사용해 연결하세요.
• invalid-credential: 자격 증명이 형식에 맞지 않거나 만료된 경우 발생합니다.
• operation-not-allowed: 해당 자격 증명에 해당하는 계정 유형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 Firebase Console의 Auth 탭에서 계정 유형을 활성화하세요.
• user-disabled: 해당 자격 증명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경우 발생합니다.
• user-not-found: EmailAuthProvider.credential로 로그인할 때, 해당 이메일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발생합니다.
• wrong-password: EmailAuthProvider.credential로 로그인할 때, 비밀번호가 잘못되었거나 해당 이메일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verification-code: PhoneAuthProvider.credential일 경우, 인증 코드가 유효하지 않으면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verification-id: PhoneAuthProvider.credential일 경우, 인증 ID가 유효하지 않으면 발생합니다.
reauthenticateWithCredential
• user-mismatch: 제공된 자격 증명이 현재 사용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생합니다.
• user-not-found: 제공된 자격 증명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credential: 공급자의 자격 증명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 이미 만료되었거나 잘못된 토큰을 사용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공급자별 Firebase 문서를 참고하고, 자격 증명 메서드에 올바른 매개변수를 전달했는지 확인하세요.
• invalid-email: EmailAuthProvider.credential에서 사용된 이메일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
• wrong-password: EmailAuthProvider.credential에서 사용된 비밀번호가 틀리거나, 해당 이메일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verification-code: PhoneAuthProvider.credential일 경우, 인증 코드가 유효하지 않으면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verification-id: PhoneAuthProvider.credential일 경우, 인증 ID가 유효하지 않으면 발생합니다.
signInWithAuthProvider
• user-disabled: 해당 이메일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경우 발생합니다.
signInAnonymously
• operation-not-allowed: 익명 계정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 Firebase Console의 Auth 탭에서 익명 계정을 활성화하세요.
signInWithEmailLink
• expired-action-code: 이메일 링크의 OTP가 만료된 경우 발생합니다.
• invalid-email: 이메일 주소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.
• user-disabled: 해당 이메일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비활성화된 경우 발생합니다.
'IT > 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lutter] Form 위젯과 validate 사용 - 유효성 검사 프로세스 (0) | 2025.03.18 |
---|---|
[디자인패턴] MVVM 기본 예시 with Riverpod (0) | 2025.02.26 |
[디자인패턴] Flutter에서 MVVM 패턴 적용하기: 개념부터 예제코드까지 (0) | 2025.01.29 |
[flutter] Container위젯과 DecoratedBox 위젯의 효율적인 사용 (0) | 2025.01.23 |
[상태관리] flutter Riverpod을 이용하여 todo 리스트 만들어 보기 (0) | 2024.12.19 |